









To Whom It May Concern - YEON JEE MOMO KIM
받는 이 에게 - 김연지
선택구절
마침내 헤어지게 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고 눈물을 흘리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제 한번 헤어지고 나면 천고에 다시 만나지 못할 테지요. 지하에서 만날 그 날 까지 부끄러운 일이나 없도록 합시다.”
작품 설명
“There is no trash but only the traces of our relationship. You must always start with something on a relationship. Afterwards, you can remove all the traces in reality”
“어디에도 ‘쓰레기’는 없다. 살아가는 동안 모든 우리의 관계 속에서 나온 ‘흔적’들 뿐이다.” 박스 속에는 무수한 관계의 잔여물들과 지나간 시간들의 흔적이 무질서하게 놓여져 있다.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관계의 흔적과, 헤어짐이라는 그 이후의 방향에 초점을 두고 표현하는 구절을 선택하였으며, 그러한 방향에서 나온 잔여물들은 작가의 관점에서 쓰레기가 아닌 관계의 흔적들로 예술성을 부여하며 컨셉셜 아트로 구성이 되었다.


Untitled
YeonJee MoMo Kim
Medium
Print
Description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s growth and transformation. Through my works, I expressed few words that represent people in complicated relationships in an abstract manner and how people in complicated relationships change and react via various patterns and finally how the two together makes a piece of art.
개인이 성장하고 변이하는 과정에서 관계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복잡한 관계들 속 인물들을 대표하는 단어들을 추상적으로 나타내었고, 어떠한 패턴으로 심리적 반응이 일어나고 하나의 그림이 되는지 표현하였다.

This is an abstract work for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There is a complex symbolic meaning. I used blue and pink flat image as an imagery of sky and ground. The white dot represent the 304 victims' portrait of Sewol ferry disaster. RIP.
이번 작업은, 세월호에서 희생당한 304명의 추모자들을 기리기위해 만든 작업으로, 하늘색과 분홍색은 하늘과 땅을 의미하고, 하얀 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들의 영혼을 추상화하였습니다. 희생자의 평온을 빕니다













To Whom It May Concern - YEON JEE MOMO KIM
받는 이 에게 - 김연지
선택구절
마침내 헤어지게 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고 눈물을 흘리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제 한번 헤어지고 나면 천고에 다시 만나지 못할 테지요. 지하에서 만날 그 날 까지 부끄러운 일이나 없도록 합시다.”
작품 설명
“There is no trash but only the traces of our relationship. You must always start with something on a relationship. Afterwards, you can remove all the traces in reality”
“어디에도 ‘쓰레기’는 없다. 살아가는 동안 모든 우리의 관계 속에서 나온 ‘흔적’들 뿐이다.” 박스 속에는 무수한 관계의 잔여물들과 지나간 시간들의 흔적이 무질서하게 놓여져 있다.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관계의 흔적과, 헤어짐이라는 그 이후의 방향에 초점을 두고 표현하는 구절을 선택하였으며, 그러한 방향에서 나온 잔여물들은 작가의 관점에서 쓰레기가 아닌 관계의 흔적들로 예술성을 부여하며 컨셉셜 아트로 구성이 되었다.
Untitled
YeonJee MoMo Kim
Medium
Print
Description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s growth and transformation. Through my works, I expressed few words that represent people in complicated relationships in an abstract manner and how people in complicated relationships change and react via various patterns and finally how the two together makes a piece of art.
개인이 성장하고 변이하는 과정에서 관계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복잡한 관계들 속 인물들을 대표하는 단어들을 추상적으로 나타내었고, 어떠한 패턴으로 심리적 반응이 일어나고 하나의 그림이 되는지 표현하였다.
This is an abstract work for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There is a complex symbolic meaning. I used blue and pink flat image as an imagery of sky and ground. The white dot represent the 304 victims' portrait of Sewol ferry disaster. RIP.
이번 작업은, 세월호에서 희생당한 304명의 추모자들을 기리기위해 만든 작업으로, 하늘색과 분홍색은 하늘과 땅을 의미하고, 하얀 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들의 영혼을 추상화하였습니다. 희생자의 평온을 빕니다